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물들이

애플스네일과 왕우렁이 본문

관상어정보

애플스네일과 왕우렁이

골든d테트라 2021. 8. 29. 18:04

애플스네일은 남이에 분포하는 pomacea속의 한 종류이며 베네수엘라 원산으로 골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색체변이가 알려져 있다. 

관상용으로써 사육된느 애플스네일은  열대원산인 P.bridgesil가 예전이나 지금이나 주류이다.

주류, 라고 하는 이유는 일본에서는 모든 애플스네일이 식물방역 대상종으로써 수입이 금지되어 있는 것에

반해 유럽에서는 여러 애플스네일이 애완용으로써 오래전부터 사육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왕우렁이는 식용목적으로 나가사키현과 와카야마현에서 들여왔던 것은

1981년의 일이다. 이종은 아르헨티나의 라플라타강 원산으로 저온내성이 높아 급격하게  일본각지에

퍼져나갔다. 이 왕우렁이의 만연에 관해 관상용 애플스네일이 관여 되어 있다는 식의 해설도 있찌만 이것은

증거가 없는 억측이다. 애플스네일은 1960년대부터 열대어 사육서에 등장할 정도로 보급되었지만

왕우렁이가 도입되기 이전에 일본으로 귀화한 보고가  없다. 그로 인해 80년대부터 급속하게 정착한 왕우렁이는

그 이전에 관상용으로 들여왔던 것에 포함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욍우렁이의 껍질은 끝이 뾰족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둥근 편이며 부풀어 오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애플스네일의 껍질은 끝이 뾰족하고 전체적으로 껍질의 감긴 방식이 약간 띠 형태로 되어 있는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자의 알덩어리가 선명하고 진한 핑크색인 것에 비해 후자는 회색이 섞인

옅은 핑크색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왕우렁이 농법으로 벼농사를 짓고 있는 곳이 많은데 겨울을 지내는 왕우렁이가 나타나기

시작해 유해어종으로 변경해야 되는것이 아닌지 말이 많이 나오고 있다

유기농 농법으로 사용되는 왕우렁이는 어린 개체로 벼를 먹지 않고 잡초만 제거하고 겨울이 되면 죽었으나

겨울을 나는 왕우렁이는 성체가 되어 다음년도에 벼도 같이 먹어버리기 때문이다.

 

출처: 월간 아쿠아 라이프 2013년9월

Comments